사초 폐기 ‘잃어버린 25년’

이기환 선임기자

“선조 즉위년(1567년)~임진왜란 직전(1592년)까지의 역사기록이 깜깜하다. 임란 도중 사관 조존세·박정현·임취정·김선여 등이 사초책을 모조리 불태우고 도망갔기 때문이다.”(<상촌휘언>)

1609년(광해군 1년), <선조실록> 편찬위원(유사당상)인 신흠(1566~1628년)이 분통을 터뜨린다. 그는 실록청 총재관(편찬위원장)인 이항복을 찾아 장탄식한다.

“잃어버린 25년의 사적을 다 찾아 기록하자면 10년이 걸려도 완성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사초 폐기 ‘잃어버린 25년’

왜 이런 참담한 비극이 일어났을까. 1592년 6월1일 밤, 평안도 안주에 도착한 선조 임금이 국외(요동) 망명을 결정했다. 그러자 ‘사관 4인방’이 임금을 팽개친 채 야반도주했다. 목이 달아나도 잡아야 할 사필과, 짊어지고 다녀야 할 사초책을 불태운 천인공노할 짓을 저지른 채…. ‘사관 4인방’이 도망간 뒤 ‘대타 사관’이 된 이호민은 “(난리 중이라) 지필도 없이 맨손으로 입시한 뒤 임금의 말을 머릿속에 ‘입력’시킬 수밖에 없었다. 9년 뒤인 1601년(선조 34년) 이호민이 “그때 입력시킨 ‘기억’을 어찌 지금 되살릴 수 있겠느냐”고 토로하는 대목이 실록에 등장한다. ‘사초 실종’ 대가는 혹독했다.

“실록 편찬에 고증할 만한 (1차) 자료가 없습니다. 유희춘·이정형 등의 개인 일기들이 있지만 너무도 소략합니다.”

실록청은 ‘잃어버린 25년’을 되살릴 사대부의 개인 일기와 문집, 그리고 각 관청의 공문서와 조보(朝報·관보)까지 ‘색출’하다시피 했다. 그래도 역부족이었다. 편찬위원들은 할 수 없이 “죄는 크지만 역사는 써야 한다”면서 ‘사관 4인방’의 복직을 권했다. 그러나 선조는 “도망자들에게 역사를 맡기는 것은 나라의 수치”라며 일축했다. ‘사관 4인방’인 박정현이 명나라 사절단장으로 추천되자, 선조는 “권선징악의 법고와 인륜을 해친 것”이라며 “사초와 임금을 버리고 도망친 자가 명나라로 가는 길에 도망이라도 치면 어쩔 것이냐”며 불같이 화를 냈다. 외직을 전전하던 ‘사관 4인방’은 광해군 시절 끈질긴 생명력을 발휘하며 권력의 핵심으로 부활했다. 그러나 실록에 등장하는 ‘4인방’의 이름 앞에는 늘 ‘사초와 임금을 팽개친’이라는 수식어가 찍혀 있다. 또 이들 때문에 <선조실록>(사진)은 가장 질 떨어지는 실록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썼다. 전체 221권인 <선조실록> 중 ‘잃어버린 25년’의 기록은 26권에 불과하다. 과연 “나라는 망하지 않았지만 (그들 때문에) 역사는 망했다”는 신흠의 말이 맞는 것 같다.


Today`s HOT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미국 캘리포니아대에서 이·팔 맞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인도 스리 파르타샤 전차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시위대 향해 페퍼 스프레이 뿌리는 경관들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불타는 해리포터 성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